통합검색
홈 > 연구보고서>통합검색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 기간
- 20170712 ~ 20170712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정옥식
- 연구자
- 정종관,사공정희,이종구,장하라
- 파일다운로드
-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발표자료.pdf
발제1. 한국 간척.매립의 역사와 전망_최영래.pdf
발제2. 하구생태복원 국외 추진 사례_박진순.pdf
발제3. 생태계관리와 의사결정 과정_이나무.pdf
발제4. 금강하구 유동.퇴적환경의 장기 변화_김태인.pdf
발제5. 국제 중요 서식지 금강하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_정옥식.pdf
발제6. 하구복원을 위한 법제 개발의 필요성 및 추진방안_이창희,심영규.pdf
목차
▷한국간척의 역사 및 전망 - 최영래 교수(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하구생태복원 국외 추진 사례 - 박진순 박사(국립해양생물자원관)
▷와덴해 하구생태복원 의사결정 과정 - 이나무 소장(ESP아시아 사무소)
▷금강하구 유동·퇴적 환경의 장기 변화 - 김태인 박사(지오시스템 리서치)
▷국제 중요 서식지 금강하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정옥식 박사(충남연구원)
▷금강하구 생태 복원의 과제 - 이창희 교수(명지대학교)
▷하구생태복원 국외 추진 사례 - 박진순 박사(국립해양생물자원관)
▷와덴해 하구생태복원 의사결정 과정 - 이나무 소장(ESP아시아 사무소)
▷금강하구 유동·퇴적 환경의 장기 변화 - 김태인 박사(지오시스템 리서치)
▷국제 중요 서식지 금강하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정옥식 박사(충남연구원)
▷금강하구 생태 복원의 과제 - 이창희 교수(명지대학교)
내용
닫힌 하구에 의한 생태적 문제는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반면 (금강)하구생태복원 선언 이후 답보상태에 놓여있음금강하구의 현황 점검과 더불어 생태복원의 향후 추진 방향 및 action plan을 모색하고자 함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정우철 연락처 : 041-840-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