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전략과제
홈 > 연구보고서>전략과제>진행중인 전략과제
충남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개발 연구
- 기간
- 20230302 ~ 2023113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조봉운
- 연구자
- 전수광
- 파일다운로드
- (일반전략과제)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개발 및 추진방안_조봉운.pdf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수행 방법과 내용
제2장 도시재생 정책의 변화 및 관련 연구
1. 도시재생 정책의 변화
2. 관련 연구 검토
3. 도시재생 관련 제도 검토
4. 지역주도 도시재생사업 추진 사례(경기도형, 더드림)
5. 시사점
제3장 충남 도시재생사업 추진 현황 및 관계자 의식조사
1. 충남의 도시재생 여건 분석
2. 충남의 도시재생 정책
3. 충남의 도시재생사업 추진 현황과 거점시설 조성
4. 충남 도시재생사업 관계자 의식조사
제4장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1.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의 기본 방향
2.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의 과제와 목표
3.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안)
4.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방안
제5장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수행 방법과 내용
제2장 도시재생 정책의 변화 및 관련 연구
1. 도시재생 정책의 변화
2. 관련 연구 검토
3. 도시재생 관련 제도 검토
4. 지역주도 도시재생사업 추진 사례(경기도형, 더드림)
5. 시사점
제3장 충남 도시재생사업 추진 현황 및 관계자 의식조사
1. 충남의 도시재생 여건 분석
2. 충남의 도시재생 정책
3. 충남의 도시재생사업 추진 현황과 거점시설 조성
4. 충남 도시재생사업 관계자 의식조사
제4장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모델
1.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의 기본 방향
2.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의 과제와 목표
3.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안)
4. 충남의 지역주도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방안
제5장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내용
연구 배경 및 목적
- 윤석열 정부의 도시재생정책 전환으로 사업 축소와 지자체의 자립성이 요구됨.
-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 모델 개발 및 추진 방안을 마련.
주요 연구 내용
1. 정책 변화 분석:
- 박근혜 정부의 도시재생특별법 제정, 문재인 정부의 뉴딜정책, 윤석열 정부의 뉴딜 종료 및 축소.
- 국가 주도 사업에서 지자체 자율사업으로 전환 필요.
2. 충남의 도시재생 현황:
- 46개 사업 중 4개 완료, 42개 진행 중.
-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98개로 지정, 사업은 1/3 지역에서만 진행.
- 빈집 문제와 물리적 환경 정비의 필요성 강조.
3. 지역주도형 도시재생 모델 개발:
- 도시계획, 농촌계획 등 공간적 통합 계획 필요.
- 민간, 주민, 행정의 협력 모델 구축.
- 다양한 재원 확보 및 지속가능한 기반 마련.
4. 정책 제언:
- "리부트 디딤돌 사업"으로 소규모 파일럿 프로젝트 시행.
- "리부트 투게더 사업"으로 우수 계획의 본격적인 추진.
- 도시재생기금을 조성하고 외부 재원 유치 노력.
5. 사례 분석:
- 경기도형 더드림 재생사업 사례.
- 국외 도시재생 사례와 비교를 통해 시사점 도출.
결론
- 충남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하며, 지역주도형 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함.
- 지자체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 추진을 강조.
- 윤석열 정부의 도시재생정책 전환으로 사업 축소와 지자체의 자립성이 요구됨.
-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 모델 개발 및 추진 방안을 마련.
주요 연구 내용
1. 정책 변화 분석:
- 박근혜 정부의 도시재생특별법 제정, 문재인 정부의 뉴딜정책, 윤석열 정부의 뉴딜 종료 및 축소.
- 국가 주도 사업에서 지자체 자율사업으로 전환 필요.
2. 충남의 도시재생 현황:
- 46개 사업 중 4개 완료, 42개 진행 중.
-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98개로 지정, 사업은 1/3 지역에서만 진행.
- 빈집 문제와 물리적 환경 정비의 필요성 강조.
3. 지역주도형 도시재생 모델 개발:
- 도시계획, 농촌계획 등 공간적 통합 계획 필요.
- 민간, 주민, 행정의 협력 모델 구축.
- 다양한 재원 확보 및 지속가능한 기반 마련.
4. 정책 제언:
- "리부트 디딤돌 사업"으로 소규모 파일럿 프로젝트 시행.
- "리부트 투게더 사업"으로 우수 계획의 본격적인 추진.
- 도시재생기금을 조성하고 외부 재원 유치 노력.
5. 사례 분석:
- 경기도형 더드림 재생사업 사례.
- 국외 도시재생 사례와 비교를 통해 시사점 도출.
결론
- 충남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하며, 지역주도형 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함.
- 지자체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 추진을 강조.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