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현안과제
홈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진행중인 현안과제
충남 농촌주거공간개선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사례조사 및 정책 제언
- 기간
- 20221118 ~ 202212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조영재
- 파일다운로드
- 현안과제 성과품(2022일반-96)_충남 농촌주거공간개선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사례조사 및 정책 제언.pdf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충남 농촌주거공간개선사업 개요
3. 국외(일본) 관련정책 사례
4. 국내 사례조사 연구
5. 시사점 및 정책제언
2. 충남 농촌주거공간개선사업 개요
3. 국외(일본) 관련정책 사례
4. 국내 사례조사 연구
5. 시사점 및 정책제언
내용
본 연구는 충남형 농촌주거공간개선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국외(일본) 관련정책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국내 사례조사 연구를 진행하여 시사점과 향후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함
◦ 국외(일본) 관련정책 사례조사
① 한계집락론 : 마을의 한계화 정도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마을 기능이 한계에 이르기 전에 최대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주장
② 철퇴의 농촌계획론 : 행정투자의 효율성, 삶의 합리성을 근거로 적극적인 농촌마을의 공간적 재편 주장
- 반대논리: 삶의 철학성, 마을의 강인성 등 주장
◦ 국내 사례조사 연구
- 전북형 햇살가득 농촌재생 프로젝트
- 강원 운학삼돌이 마을, 경북 녹동귀농마을, 주치골 마을, 정양마을, 전북 월곡뉴타운, 충남 송림마을, 충북 죽리마을 등 조사
◦ 시사점 및 정책제언
① 재편정책 관련 : 다양한 재편방법의 검토, 과소마을 및 한계마을 정책 연계, 거점마을 연계 및 다양한 거점마을(작은거점) 육성, 기존 사업(농촌형 임대주택 등)과의 차별성 확보 필요
② 공간정비 관련 : 이상적인 형태는 기존 마을 리모델링 또는 재개발, 신규마을 조성시 사업취지와 목적 달성 고려, 공동입주형 조성에 대한 신중한 접근 필요
③ 입주자 관련 : 농촌주민의 소위 '삶의 철학성' 존중 필요, 입주자 선정시 기존 주민과 신규주민(귀농·귀촌인, 관계인구 등) 고려, 입주자 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설계 필요
④ 커뮤니티 관련 : 기존 커뮤니티 소실 최소화 및 새로운 커뮤니티 활성화 도모, 농촌마을 재편정책과 마을 재생정책의 연계 추진 필요 등
◦ 국외(일본) 관련정책 사례조사
① 한계집락론 : 마을의 한계화 정도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마을 기능이 한계에 이르기 전에 최대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주장
② 철퇴의 농촌계획론 : 행정투자의 효율성, 삶의 합리성을 근거로 적극적인 농촌마을의 공간적 재편 주장
- 반대논리: 삶의 철학성, 마을의 강인성 등 주장
◦ 국내 사례조사 연구
- 전북형 햇살가득 농촌재생 프로젝트
- 강원 운학삼돌이 마을, 경북 녹동귀농마을, 주치골 마을, 정양마을, 전북 월곡뉴타운, 충남 송림마을, 충북 죽리마을 등 조사
◦ 시사점 및 정책제언
① 재편정책 관련 : 다양한 재편방법의 검토, 과소마을 및 한계마을 정책 연계, 거점마을 연계 및 다양한 거점마을(작은거점) 육성, 기존 사업(농촌형 임대주택 등)과의 차별성 확보 필요
② 공간정비 관련 : 이상적인 형태는 기존 마을 리모델링 또는 재개발, 신규마을 조성시 사업취지와 목적 달성 고려, 공동입주형 조성에 대한 신중한 접근 필요
③ 입주자 관련 : 농촌주민의 소위 '삶의 철학성' 존중 필요, 입주자 선정시 기존 주민과 신규주민(귀농·귀촌인, 관계인구 등) 고려, 입주자 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설계 필요
④ 커뮤니티 관련 : 기존 커뮤니티 소실 최소화 및 새로운 커뮤니티 활성화 도모, 농촌마을 재편정책과 마을 재생정책의 연계 추진 필요 등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