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전략과제
홈 > 연구보고서>전략과제>진행중인 전략과제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아산시 둔포면 영향분석과 특별볍 개정 검토
- 기간
- 20220822 ~ 20230430
- 진행상태
- 현재 과제 수행중
- 연구책임자
- 임준홍
- 연구자
- 김용현,최정현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 분석의 틀 5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3) 연구 수행체계 14
제2장 관련 제도 검토 및 주민의식 분석 15
1. 관련 법제도 및 정책사업 분석 15
1) 현황과 과제도출 15
2) 지역발전 및 주민피해 회복을 위한 사업발굴 18
2. 생활서비스 및 지역상권 분석 20
1) 생활서비스 분석 20
2) 지역상권 분석 21
3. 주민의식 조사·분석 24
1)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4
2) 본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6
제3장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둔포지역 영향 분석 34
1. 둔포지역 영향분석 방법론 34
1) 분석방법 개발을 위한 논쟁점 34
2) 집단 간 차이의 시점 간 상대적 변화 : 이중차분 35
3) 지원사업 이외 요인(counterfactuals)의 영향에 대한 통제 36
2. 분석자료 36
1) 지역경제 36
2) 정주여건 37
3. 분석결과 38
1) 지역경제 38
2) 정주여건 46
제4장 법·제도개선의 기본적 방향 57
1. 관련 제도의 검토범위와 주요내용 57
2. 관련 제도별 검토 결과 58
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58
2)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66
3) (가칭)주한미군이전 주변지역 생활인프라 확충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75
3. 대안 검토 및 제안(종합분석) 86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88
1. 요약 및 결론 88
2. 정책 건의 92
참고문헌 94
<부록 >주민의식조사표 9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 분석의 틀 5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3) 연구 수행체계 14
제2장 관련 제도 검토 및 주민의식 분석 15
1. 관련 법제도 및 정책사업 분석 15
1) 현황과 과제도출 15
2) 지역발전 및 주민피해 회복을 위한 사업발굴 18
2. 생활서비스 및 지역상권 분석 20
1) 생활서비스 분석 20
2) 지역상권 분석 21
3. 주민의식 조사·분석 24
1)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4
2) 본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6
제3장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둔포지역 영향 분석 34
1. 둔포지역 영향분석 방법론 34
1) 분석방법 개발을 위한 논쟁점 34
2) 집단 간 차이의 시점 간 상대적 변화 : 이중차분 35
3) 지원사업 이외 요인(counterfactuals)의 영향에 대한 통제 36
2. 분석자료 36
1) 지역경제 36
2) 정주여건 37
3. 분석결과 38
1) 지역경제 38
2) 정주여건 46
제4장 법·제도개선의 기본적 방향 57
1. 관련 제도의 검토범위와 주요내용 57
2. 관련 제도별 검토 결과 58
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58
2)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66
3) (가칭)주한미군이전 주변지역 생활인프라 확충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75
3. 대안 검토 및 제안(종합분석) 86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88
1. 요약 및 결론 88
2. 정책 건의 92
참고문헌 94
<부록 >주민의식조사표 96
내용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 분석의 틀 5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3) 연구 수행체계 14
제2장 관련 제도 검토 및 주민의식 분석 15
1. 관련 법제도 및 정책사업 분석 15
1) 현황과 과제도출 15
2) 지역발전 및 주민피해 회복을 위한 사업발굴 18
2. 생활서비스 및 지역상권 분석 20
1) 생활서비스 분석 20
2) 지역상권 분석 21
3. 주민의식 조사·분석 24
1)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4
2) 본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6
제3장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둔포지역 영향 분석 34
1. 둔포지역 영향분석 방법론 34
1) 분석방법 개발을 위한 논쟁점 34
2) 집단 간 차이의 시점 간 상대적 변화 : 이중차분 35
3) 지원사업 이외 요인(counterfactuals)의 영향에 대한 통제 36
2. 분석자료 36
1) 지역경제 36
2) 정주여건 37
3. 분석결과 38
1) 지역경제 38
2) 정주여건 46
제4장 법·제도개선의 기본적 방향 57
1. 관련 제도의 검토범위와 주요내용 57
2. 관련 제도별 검토 결과 58
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58
2)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66
3) (가칭)주한미군이전 주변지역 생활인프라 확충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75
3. 대안 검토 및 제안(종합분석) 86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88
1. 요약 및 결론 88
2. 정책 건의 92
참고문헌 94
<부록 >주민의식조사표 9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 분석의 틀 5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3) 연구 수행체계 14
제2장 관련 제도 검토 및 주민의식 분석 15
1. 관련 법제도 및 정책사업 분석 15
1) 현황과 과제도출 15
2) 지역발전 및 주민피해 회복을 위한 사업발굴 18
2. 생활서비스 및 지역상권 분석 20
1) 생활서비스 분석 20
2) 지역상권 분석 21
3. 주민의식 조사·분석 24
1)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4
2) 본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주민의식 26
제3장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둔포지역 영향 분석 34
1. 둔포지역 영향분석 방법론 34
1) 분석방법 개발을 위한 논쟁점 34
2) 집단 간 차이의 시점 간 상대적 변화 : 이중차분 35
3) 지원사업 이외 요인(counterfactuals)의 영향에 대한 통제 36
2. 분석자료 36
1) 지역경제 36
2) 정주여건 37
3. 분석결과 38
1) 지역경제 38
2) 정주여건 46
제4장 법·제도개선의 기본적 방향 57
1. 관련 제도의 검토범위와 주요내용 57
2. 관련 제도별 검토 결과 58
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58
2)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66
3) (가칭)주한미군이전 주변지역 생활인프라 확충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75
3. 대안 검토 및 제안(종합분석) 86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88
1. 요약 및 결론 88
2. 정책 건의 92
참고문헌 94
<부록 >주민의식조사표 96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